깰지어다 깰지어다 드보라여!
2004-05-15 00:00:00
관리자
조회수 32
유튜브 저화질 다운 MP3 녹취 요약 |
지난번 사사기에서 첫 번째 사사 웃니엘에 대해서 이야기했습니다. 영적인 비밀을 기준으로 하나님은 쓰십니다. 또 이땅에 살아가면서 평생싸워야 할 것이 영적인 싸움이라는 것입니다. 안주하고 머무르면 편안하게 빠진다면 사사기의 ‘또’의 사건이 일어납니다. 또 그리스도의 싸움을 싸울수록 영적인 새로운 세계가 보여지고, 우리 후대와 현장까지도 정복하는 비밀이 열려집니다. 사사기들이 사는 날동안에는 태평한 응답을 얻었지만 사사들이 죽고 나서 하나님의 계속된 비밀이 제자의 비밀이라는 것입니다. 제자 세워지는 사역이 되어질때 이것이 후대를 살리는 사역이 되어집니다. 정말 우리의 생애가 제자로 쓰임받고 제자 세우는 사역이 되어야 합니다.
1. 여선지자 드보라
① 여자로서 전혀 불가능한 일에 도전한 사람이 드보라입니다.
② 900승의 철병거를 지닌 야빈의 군대장관 시스라의 손에서 구하기 위해 도전을 하게 됩니다.
③ 모두가 포기한 상황에서 드보라는 일어났습니다. (삿 5:7)
④ 구원의 축복을 누리지 못하는, 그 현장에서 일어나는 우리는 불가능에 도전해야 합니다.
2. 드보라가 쓰임받은 이유
(1) 하나님의 음성을 제대로 들었습니다.
① 드보라는 ‘여선지‘로서 그 시대에 하나님의 음성을 제대로 들은 사람입니다.
② 그리스도를 깨닫고 기도할 때, 문제가 해결되고 깨달아지게 됩니다.
③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 영적인 싸움의 비밀을 알게 될 때 쓰임을 받게 됩니다.
④ 나이와는 상관이 없이 영적인 싸움을 아는 사람이 승리합니다. 요시아는 8세에 왕이 되어 신당을 무너뜨렸습니다.
⑤ 출애굽한 이스라엘 백성이 홍해 앞에 설 때, 모세는 오늘날 너희를 위해 싸우시는 하나님의 손길을 보라고 합니다.
⑥ 모세의 영적인 비밀이 평생 정시기도, 무시기도의 비밀입니다. 이것이 되어질 때, 결정적인 순간에 하나님이 말씀을 주십니다.
⑦ 문제와 시간에 맞게 우리에게 역사하시는 하나님의 축복이 있습니다. 각각에게 이루어지는 역사가 차이가 나는 이유가 있습니다.
⑧ 현장 속에서 말씀으로 준비하고 교회에 나올때, 하나님의 말씀이 제대로 들려지게 됩니다.
(2) 하나님이 주시는 승리의 확신이 있었습니다.
① 드보라는 그를 나의 손에 붙이시리라는 확신이 있었습니다.
② 크라이슬러의 아이오코카는 우리의 삶에서 얼마나 확신을 가졌냐에 성공과 실패가 갈린다고 했습니다.
③ 어떤 철학자는 사람이 행복하기 위해서는 행복한 사고와 행동을 했다고 합니다.
④ 우리의 확신은 그것 이상입니다. 세계복음화의 비젼 가운데 우리가 있습니다.
⑤ 그 비젼을 얼마나 잡고 있는가. 이 사실에 생을 걸고 확인한다면 저절로 축복가운데 있게 됩니다.
(3) 자신이 해야 할 일을 찾았습니다.
① 불우한 환경에서 포기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그러나 드보라는 달랐습니다.
② 자신대신에 싸울 군대장관을 찾았습니다. 그것이 바락 입니다.
③ 요6장에서 안드레는 어린 아이의 도시락을 가져오는 작은 일을 했지만, 그것을 통해 오병이어의 기적이 되어졌습니다.
④ 우리의 적은 일이 근본적으로 바뀌는 일이 될 수도 있습니다.
⑤ 우리가 말씀을 통해, 우리가 인생이 바뀌는 일이 되어집니다. 언약잡고 해야 할 일을 해야 합니다.
⑥ 바락은 드보라가 믿음의 사람인 줄 알기에 같이 갈 것을 요구합니다.
⑦ 기도의 동역자가 그렇게 중요합니다. 아말렉과의 싸움에서 모세가 손을 들때 전쟁에서 이겼습니다.
⑧ 우리가 가정에서 서로를 기도의 동역자로 주심을 감사해야 합니다.
⊙ 모두가 포기한 상황에서 드보라가 일어났습니다. 삿 5:12절 ‘깰지어다 깰지어다 드보라여‘ 가장 중요한 것은 언약 잡은 사람입니다. 돈이나 다른 환경이 아니라 언약 잡은 사람이 일어날 때, 31절에 주를 사랑하는 자는 해가 힘있게 돋음 같게 하시옵소서. 언약잡은 사람들에게 영광스러운 축복의 역사를 보장해 주십니다. 우리의 현장은 불가능합니다. 그러나 그 중에 하나님이 하신다는 도전이 교회건축입니다. 분명한 응답의 확신으로 이 안에 쓰임받는 여러분이 되시길 바랍니다. 안주하고 머물다가는 실패합니다. ‘깰지어다 깰지어다 드보라여‘ 이 시대를 향한 과제이고 하나님의 응답입니다. 이것이 하나님께 붙잡이는 승리의 역사가 있기를 축원합니다.
1. 여선지자 드보라
① 여자로서 전혀 불가능한 일에 도전한 사람이 드보라입니다.
② 900승의 철병거를 지닌 야빈의 군대장관 시스라의 손에서 구하기 위해 도전을 하게 됩니다.
③ 모두가 포기한 상황에서 드보라는 일어났습니다. (삿 5:7)
④ 구원의 축복을 누리지 못하는, 그 현장에서 일어나는 우리는 불가능에 도전해야 합니다.
2. 드보라가 쓰임받은 이유
(1) 하나님의 음성을 제대로 들었습니다.
① 드보라는 ‘여선지‘로서 그 시대에 하나님의 음성을 제대로 들은 사람입니다.
② 그리스도를 깨닫고 기도할 때, 문제가 해결되고 깨달아지게 됩니다.
③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 영적인 싸움의 비밀을 알게 될 때 쓰임을 받게 됩니다.
④ 나이와는 상관이 없이 영적인 싸움을 아는 사람이 승리합니다. 요시아는 8세에 왕이 되어 신당을 무너뜨렸습니다.
⑤ 출애굽한 이스라엘 백성이 홍해 앞에 설 때, 모세는 오늘날 너희를 위해 싸우시는 하나님의 손길을 보라고 합니다.
⑥ 모세의 영적인 비밀이 평생 정시기도, 무시기도의 비밀입니다. 이것이 되어질 때, 결정적인 순간에 하나님이 말씀을 주십니다.
⑦ 문제와 시간에 맞게 우리에게 역사하시는 하나님의 축복이 있습니다. 각각에게 이루어지는 역사가 차이가 나는 이유가 있습니다.
⑧ 현장 속에서 말씀으로 준비하고 교회에 나올때, 하나님의 말씀이 제대로 들려지게 됩니다.
(2) 하나님이 주시는 승리의 확신이 있었습니다.
① 드보라는 그를 나의 손에 붙이시리라는 확신이 있었습니다.
② 크라이슬러의 아이오코카는 우리의 삶에서 얼마나 확신을 가졌냐에 성공과 실패가 갈린다고 했습니다.
③ 어떤 철학자는 사람이 행복하기 위해서는 행복한 사고와 행동을 했다고 합니다.
④ 우리의 확신은 그것 이상입니다. 세계복음화의 비젼 가운데 우리가 있습니다.
⑤ 그 비젼을 얼마나 잡고 있는가. 이 사실에 생을 걸고 확인한다면 저절로 축복가운데 있게 됩니다.
(3) 자신이 해야 할 일을 찾았습니다.
① 불우한 환경에서 포기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그러나 드보라는 달랐습니다.
② 자신대신에 싸울 군대장관을 찾았습니다. 그것이 바락 입니다.
③ 요6장에서 안드레는 어린 아이의 도시락을 가져오는 작은 일을 했지만, 그것을 통해 오병이어의 기적이 되어졌습니다.
④ 우리의 적은 일이 근본적으로 바뀌는 일이 될 수도 있습니다.
⑤ 우리가 말씀을 통해, 우리가 인생이 바뀌는 일이 되어집니다. 언약잡고 해야 할 일을 해야 합니다.
⑥ 바락은 드보라가 믿음의 사람인 줄 알기에 같이 갈 것을 요구합니다.
⑦ 기도의 동역자가 그렇게 중요합니다. 아말렉과의 싸움에서 모세가 손을 들때 전쟁에서 이겼습니다.
⑧ 우리가 가정에서 서로를 기도의 동역자로 주심을 감사해야 합니다.
⊙ 모두가 포기한 상황에서 드보라가 일어났습니다. 삿 5:12절 ‘깰지어다 깰지어다 드보라여‘ 가장 중요한 것은 언약 잡은 사람입니다. 돈이나 다른 환경이 아니라 언약 잡은 사람이 일어날 때, 31절에 주를 사랑하는 자는 해가 힘있게 돋음 같게 하시옵소서. 언약잡은 사람들에게 영광스러운 축복의 역사를 보장해 주십니다. 우리의 현장은 불가능합니다. 그러나 그 중에 하나님이 하신다는 도전이 교회건축입니다. 분명한 응답의 확신으로 이 안에 쓰임받는 여러분이 되시길 바랍니다. 안주하고 머물다가는 실패합니다. ‘깰지어다 깰지어다 드보라여‘ 이 시대를 향한 과제이고 하나님의 응답입니다. 이것이 하나님께 붙잡이는 승리의 역사가 있기를 축원합니다.
번호 | 제목 | 본문 | 설교자 | 설교일 | 첨부파일 |
---|---|---|---|---|---|
355 | 이정표를 올바르게 잡는 자 | 렘31:21 | 박세광 선교사 | 2025-04-27 | |
354 | 선교 - 하나님께는 먼 곳이 없다 | 마28:18-20 | 홍명식 선교사 | 2025-04-20 | |
353 | 우리는 그리스도의 편지입니다 | 고후3:1-3 | 안영수 선교사 | 2025-04-13 | |
352 | 잃어버린 선교 시대 | 행11:27-30 | 신봉준 목사 | 2025-04-06 | |
351 | 찬양예배 | 2025-03-30 | |||
350 | 내가 파야 할 우물 - 개인 예배 | 창26:12-23 | 홍하람 준목 | 2025-03-23 | |
349 | 날마다의 예배 | 행2:42-47 | 오석진 목사 | 2025-03-16 | |
348 | 산 제사 | 행5:42 | 박래휘 목사 | 2025-03-09 | |
347 | 최우선 순위에 두어야 할 것 | 히4:16 | 신봉준 목사 | 2025-03-02 | |
346 | 성도를 온전케 함으로 그리스도의 몸을 세우는 교회 | 엡4:11-16 | 최상국 목사 | 2025-02-23 | |
345 | 훗날에 기억될 교회! | 사61:8-9 | 박승태 전도사 | 2025-02-16 | |
344 | 세상 살리는 교회의 역할 | 마16:16-19 | 김삼현 목사 | 2025-02-09 | |
343 | 하나님이 원하시는 교회의 모습 | 마16:13-19 | 신봉준 목사 | 2025-02-02 | |
342 | 삶의 기본 | 고전10:31 | 김진용 목사 | 2025-01-26 | |
341 | 응답의 기본 - 성령충만 | 행1:8 | 김삼현 목사 | 2025-01-19 |
1
2
3
4
5
6
7
8
9
10
...
2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