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세의 징조
2008-11-02 00:00:00
관리자
조회수 22
유튜브 저화질 다운 MP3 녹취 요약 |
서론: 렘넌트의 이성문제에 대해 신앙인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정리할지 말씀하고자 합니다. 저는 어릴 때부터 나름대로 신앙생활 했는데, 어머니의 영향을 받아 목사가 될 것을 약속했습니다. 군복무를 하면서 일부러 타락하려고 해도 하나님은 사명을 깨달은 저를 곁길로 가게 하지 않으셨습니다. 당시 제 별명이 ‘연애대장’이었는데, 예수 믿는 처녀를 만나야 한다는 생각이 수칙처럼 확고했습니다. 목사가 되어야 한다는, 하나님이 주신 사명이 저를 계속 지켰습니다. 자녀들이 자라면서 이성문제에 대해 많은 갈등을 하게 됩니다. 부모는 자녀들에게 사명감 심기 이전에, 우선 자녀들이 믿음의 뿌리를 내리고 정체성을 확인하도록 하면 됩니다.
1. 이성교제의 긍정적인 면
(1) 아름다운 추억이 될 수 있습니다.
(2) 연애를 하면 감성이 풍부해집니다(시인이 됨).
(3) 사랑을 한 경험은 개인과 신앙의 성장을 가져다줍니다.
1) 사랑과 사람을 이해하게 됨
2) 결혼은 신앙 성장의 계기가 되기도 함
(4) 개인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결단의 기회가 주어집니다.
2. 이성교제의 부정적인 면
(1) 사명감이 없으면 크게 손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시간 낭비).
(2) 학업, 자신의 삶, 신앙생활에 지장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3) 교회 생활에 부덕을 끼칠 수도 있습니다.
3. 렘넌트가 이성과 가져야 할 관계
(1) 범상치 않은 아이들은 어릴 때부터 규모를 가집니다(부모의 역할이 중요).
(2) 언약을 이룰 이성을 찾는 것은 생의 가장 중요한 일입니다.
(3) 신앙에 큰 도움을 얻는 이성을 만나도록 반드시 기도해야 합니다.
(4) 학업․기능에 유일성을 향해 갈 이성을 만나야 합니다(공부 잘 하는 사람을 만날 것).
(5) 친구가 될 이성에게는 최대한 예를 갖추어야 합니다(가까울수록 예를 갖춰야).
(6) 잘못된 관계는 꼭 바르게 회복해야 합니다(철저히 가르쳐서 실수를 반복하지 않게 할 것).
(7) 렘넌트의 결혼은 인생 제2의 시작입니다(개인의 신앙관, 복음관이 달라짐).
결론: 말세 시대에 사람들은 먹고 마시며 시집가고 장가가는 데에, 육신적인 것에만 관심을 갖습니다. 말세의 징조를 바르게 보십시오. 가정이 파괴되고 아이들이 타락하고 있습니다. 말세 시대에 우리 개인이 바르게 이성관계를 갖고, 자녀의 이성관계를 올바르게 지도해야 합니다. 렘넌트가 먼저 복음에 뿌리내리도록 하십시오. 구원의 확신과 하나님의 자녀라는 정체성만 심으면 절대 흔들리지 않습니다.
1. 이성교제의 긍정적인 면
(1) 아름다운 추억이 될 수 있습니다.
(2) 연애를 하면 감성이 풍부해집니다(시인이 됨).
(3) 사랑을 한 경험은 개인과 신앙의 성장을 가져다줍니다.
1) 사랑과 사람을 이해하게 됨
2) 결혼은 신앙 성장의 계기가 되기도 함
(4) 개인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결단의 기회가 주어집니다.
2. 이성교제의 부정적인 면
(1) 사명감이 없으면 크게 손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시간 낭비).
(2) 학업, 자신의 삶, 신앙생활에 지장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3) 교회 생활에 부덕을 끼칠 수도 있습니다.
3. 렘넌트가 이성과 가져야 할 관계
(1) 범상치 않은 아이들은 어릴 때부터 규모를 가집니다(부모의 역할이 중요).
(2) 언약을 이룰 이성을 찾는 것은 생의 가장 중요한 일입니다.
(3) 신앙에 큰 도움을 얻는 이성을 만나도록 반드시 기도해야 합니다.
(4) 학업․기능에 유일성을 향해 갈 이성을 만나야 합니다(공부 잘 하는 사람을 만날 것).
(5) 친구가 될 이성에게는 최대한 예를 갖추어야 합니다(가까울수록 예를 갖춰야).
(6) 잘못된 관계는 꼭 바르게 회복해야 합니다(철저히 가르쳐서 실수를 반복하지 않게 할 것).
(7) 렘넌트의 결혼은 인생 제2의 시작입니다(개인의 신앙관, 복음관이 달라짐).
결론: 말세 시대에 사람들은 먹고 마시며 시집가고 장가가는 데에, 육신적인 것에만 관심을 갖습니다. 말세의 징조를 바르게 보십시오. 가정이 파괴되고 아이들이 타락하고 있습니다. 말세 시대에 우리 개인이 바르게 이성관계를 갖고, 자녀의 이성관계를 올바르게 지도해야 합니다. 렘넌트가 먼저 복음에 뿌리내리도록 하십시오. 구원의 확신과 하나님의 자녀라는 정체성만 심으면 절대 흔들리지 않습니다.
번호 | 제목 | 본문 | 설교일 | 첨부파일 |
---|---|---|---|---|
1484 | 전환점을 이룬 안디옥 선교 | 행11:19-30 | 2025-04-27 | |
1483 | 우리에게 주시는 영원한 메시지 | 고전15:1-11 | 2025-04-20 | |
1482 | 새로운 싸움을 위하여 | 삿7:9-18 | 2025-04-13 | |
1481 | 날마다 영적싸움에 승리하라 | 삿7:1-8 | 2025-04-06 | |
1480 | 이 시대 역사에 대한 하나님의 해답 | 삿4:1-10 | 2025-03-30 | |
1479 | 하나님이 쓰시는 기준 | 삿3:12-23 | 2025-03-23 | |
1478 | 한 구원자를 세워 구원하게 하시니 | 삿3:7-11 | 2025-03-16 | |
1477 | 그 후에 일어난 다른 세대는 | 삿2:6-10 | 2025-03-09 | |
1476 | 새로운 축복을 위해 남겨두신 과제 | 삿1:1-7 | 2025-03-02 | |
1475 | 끝까지 전도하는 교회 | 단12:1-4 | 2025-02-23 | |
1474 | 하나님을 아는 백성은 용맹을 떨치리라 | 단11:28-39 | 2025-02-16 | |
1473 | 네 말이 들으신 바 되었으므로 | 단10:10-21 | 2025-02-09 | |
1472 | 네가 기도를 시작할 즈음에 | 단9:20-24 | 2025-02-02 | |
1471 | 육신의 번영과 영원한 형통 | 단8:15-27 | 2025-01-26 | |
1470 | 그의 나라는 영원한 나라 | 단7:9-14 | 2025-01-19 |
1
2
3
4
5
6
7
8
9
10
...
99
댓글